반응형
선택적 함구증 아동을 돕기 위해 부모님과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들의 지원과 이해는 아동이 자신의 불안을 극복하고 사회적, 학업적 환경에서 보다 편안하게 말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아래는 부모님과 교사의 구체적인 역할을 사례를 들어 설명한 내용입니다.
1. 부모님의 역할
사례: 주연의 이야기
주연은 유치원에서 말을 하지 않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5세 아동입니다. 집에서는 가족과 활발히 대화하지만, 유치원에 가면 말을 전혀 하지 않습니다. 주연의 부모님은 그녀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했습니다.
- 이해와 지지:
- 주연의 부모님은 선택적 함구증에 대한 정보를 학습하고, 이를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들은 주연의 행동이 단순한 수줍음이 아니라 불안 장애임을 깨달았습니다.
- 주연이 말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비난하거나 압박하지 않고, 그녀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었습니다.
- 긍정적 강화:
- 주연이 집에서든 유치원에서든 작은 소리라도 냈을 때, 이를 칭찬하고 보상했습니다. 예를 들어, 유치원에서 고양이에 대해 한마디를 했을 때, 주연의 부모님은 그날 저녁 주연이 좋아하는 놀이 시간을 추가로 제공했습니다.
- 점진적 노출:
- 주연의 부모님은 그녀가 편안하게 느끼는 사람과 장소에서 점진적으로 말을 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처음에는 집에서 가까운 친척들과 함께 시간을 보냈고, 이후에는 이웃들과 함께하는 짧은 놀이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 전문가 상담:
- 주연의 부모님은 심리 치료사를 찾아가 주연의 상태를 평가하고, 치료 계획을 세웠습니다. 치료사는 주연에게 인지 행동 치료(CBT)를 적용하여 불안을 줄이고, 말하는 상황에 점진적으로 노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2. 교사의 역할
사례: 민호의 이야기
민호는 초등학교 2학년으로, 교실에서는 거의 말을 하지 않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민호의 담임 교사인 김 선생님은 민호를 돕기 위해 여러 가지 전략을 사용했습니다.
- 편안한 환경 조성:
- 김 선생님은 민호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교실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민호에게 부담을 주지 않도록, 처음에는 말을 강요하지 않고 그의 존재를 존중했습니다.
- 민호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민호가 잘 할 수 있는 활동에 참여시키고 이를 칭찬했습니다. 예를 들어, 미술 시간에 민호의 작품을 칭찬하고 전시했습니다.
- 소그룹 활동:
- 김 선생님은 민호가 소그룹 활동에서 점진적으로 말을 할 수 있도록 유도했습니다. 처음에는 민호가 친한 친구와 함께 작은 그룹을 이루어 활동하도록 했고, 이후에는 그룹의 크기를 점차 늘렸습니다.
- 소그룹 활동 중 민호가 말을 할 때마다 이를 긍정적으로 강화하고, 다른 학생들도 민호의 말을 경청하도록 지도했습니다.
- 의사소통 대안 제공:
- 민호가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할 때, 다른 방법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예를 들어, 질문에 대한 답을 종이에 적어 제출하게 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해 타이핑하게 했습니다.
- 가정과의 협력:
- 김 선생님은 민호의 부모님과 긴밀하게 소통하여 가정과 학교에서의 일관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했습니다. 주기적인 상담을 통해 민호의 진전 상황을 공유하고, 함께 효과적인 전략을 모색했습니다.
결론
부모님과 교사는 선택적 함구증 아동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의 이해와 지지는 아동이 불안을 극복하고 사회적, 학업적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말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연과 민호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부모님의 이해와 지지, 긍정적 강화, 점진적 노출, 전문가 상담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교사는 편안한 환경 조성, 소그룹 활동, 의사소통 대안 제공, 가정과의 협력을 통해 아동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이 결합될 때, 선택적 함구증 아동은 점차 자신의 불안을 극복하고 보다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